본문 바로가기

서버/Linux

[Linux 기초] 파일 소유권, 권한

Permissions


ls -al 입력하면 가장 앞에 출력되는 내용은  파일의 접근 권한을 나타낸다.

한번 해석해보자.

 

drwxr-xr-x

d : file의 타입을 나타낸다. - or d가 들어가며, 일반 파일 or 디렉토리로 이해하면 된다.

rwx : Owner의 권한. read, write, execute(실행권한) 

r-x : Group의 권한. read와 execute 권한만 부여됐다.

r-x : Other Users의 권한, Group과 동일한 권한을 부여받음.

 


chmod (change mode)


파일의 권한을 수정하는 툴. 

 

8진표기법

 8진수를 2진수로 표시한다. 

 Owner, Group, OtherUser에 해당하는 각 값은 0~7이 올 수 있다.

 이를 2진수로 표현하여 아래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.

 

chmod 700 <dir>

 

d rwx rwx rwx

   421 421 421

     7     7     7  

 

d r - x r - x r - x

   401 401 401

     5     5    5

 

의미표기법

chmod [ugoa(+/-)rwx] <dir>

 

u = user

g = group

o = others

a = all

+ = add permission

- = remove

 

chmod go+rx <dir>

 

'서버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 기초] 스크립트  (0) 2023.02.11
[Linux 기초] User & Group 생성  (0) 2023.02.11
[Linux 기초] 파일 & 디렉토리  (0) 2023.01.01
[Linux 기초] 기초 기초 더 쌩기초  (0) 2022.12.31
[Linux 기초] 기초 기초 쌩기초  (0) 2022.12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