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te
일시을 보는 명령어
포맷을 입력하면 원하는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드아.
자세한 내용은
date --help 에서...
history
사용했던 커맨드들을 조회할 수 있으며,
시퀀스 넘버로 해당 명령어를 실행 할 수 있다.
그리고 직전에 입력한 명령어는 !!로 사용할 수 있다. 물론, 방향키를 위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.
echo
echo 뒤에 입력한 것을 출력해준다.
bash 작성 시 변수들의 값을 출력해줄때 사용한다.
예시로 현재 디렉토리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환경변수인 pwd를 echo 해보자.
env 명령어를 통해 환경 변수의 값도 확인할 수 있다.
which
특정 명령어(tool)의 위치를 알려주는 명령어
sudo
다른 계정의 권한으로 sudo 이후의 명령어를 실행한다.
계정을 명시해주지 않으면 루트 계정으로 암시적으로 실행한다.
'서버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 기초] 스크립트 (0) | 2023.02.11 |
---|---|
[Linux 기초] User & Group 생성 (0) | 2023.02.11 |
[Linux 기초] 파일 소유권, 권한 (0) | 2023.01.20 |
[Linux 기초] 파일 & 디렉토리 (0) | 2023.01.01 |
[Linux 기초] 기초 기초 쌩기초 (0) | 2022.1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