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 & 클라우드/자동화

Ansible 기초 3 - Vagrant를 이용하여 우분투 관리

우분투를 2대 추가한다.

 

1. VagrantFile 수정

 - 우분투 노드 2개 추가에 따른 설정.

 - node 01, 02를 수정하여 간단하게 작성가능

 - 우분투는 첨부터 ssh 패스워드로 접근이 가능하여 bash에 추가하지 않았음 (bash_ssh_conf_4_CentOS.sh)

 - 커널 에러가 떠서 찾아보니, CPU 이슈일 수 있다고 하여 개수를 2개로 늘려줬다. 된다... 내 4시간..ㅠㅠ

2. Ansible_env_ready.yaml

 - 신규 node 추가

 

 

3. add_ssh_auth.sh

- node03, 04 추가

 

4.vagrant up

 - node03, 04를 프로비저닝 한다

 

5. vagrant provision ansible-server

- 그리고 이미 프로비저닝 된 ansible-server에 설정 변경을 적용해주자

- ansible-server에 붙어서 확인해본다.

 

6. Timezone 변경하기

 - hosts: CentOS 뒤에 :Ubuntu를 붙여 준다 

- anp timezone.yml -k (ansible-playbook의 alias)  

 

- node03 date 확인

- node04 date 확인

 

7. NFS(공유폴더) 설정

 - timezone과 동일하게 hosts부분에 :Ubuntu를 추가한다.

 

- anp nfs.yml -k

  우분투 설치 때문에 vm을 싹다 날렸다 재설치 한거라, 모든 노드의 변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. 


 

- node03에서 호스트네임을 딴 파일 생성, ansible-server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드아

 

8. Nginx 기동시키기

 - nginx_install.yml에서 Ubuntu 내용을 추가한다.

 - get_url의 https://www.nginx.comwww.apache.com  으로 변경한다. 우분투에서 에러로 플레이북 실행이 안되기 때문.

- anp nginx_install.yml 

- 확인해보자